생각의 흔적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한창 '조선청화'에 관한 전시가 열리고 있다.

며칠전 지인들과 같이 전시를 보며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청화백자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조선말기를 지나 현재까지도 몇백년에 걸쳐 사용된 그릇이다.

하얀 백자에 푸른빛의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를 장식한 청화백자는 중국에서 처음 제작되어 주변국인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무역을 통해 유럽과 아메리카, 심지어 아프리카까지 전달되어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은 도자기이다.

특히 중국와 일본의 청화백자는 시간차를 두고 전세계를 호령한 대표적인 물질문화이다.

이에 비해 조선청화는 1차적으로 수출용 자기가 아니라 내수용 자기로, 철저히 조선인들의 사용처와 사용방법을 비롯해 미감이 반영된 다분히 '조선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출을 염두에 둔 중국과 일본의 청화백자는 어느 정도 수입국의 선호도가 반영된 반면에 조선청화는 그와는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의 청화백자는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한 것처럼 단아하고 절제미가 있으며 여백의 미를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이번 조선청화전은 이런 기존의 선입견을 깨보고자 매우 노력한 전시로 비춰질 정도로 조선의 청화백자도 이렇게 화려하다라고 뽐내는 듯 했다.

궁궐의 각종 의례에 사용된 대형의 용그림이 그려진 항아리를 전반에 배치하여 크기와 무늬에서 압도적인 스케일을 자랑한다.

중반부에는 문인이 사랑한 청화백자를 통해 조선고유의 단아한 면을 부각하였다면 후반부에는 19세기 이후 다양해진 청화백자의 양상을 많은 유물을 전시함으로써 보여준다.

특히 19세기 이후 청화백자를 전시한 곳에는 벽부장을 이용하여 청화백자의 다양한 종류와 무늬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청화백자가 현재의 도예와 회화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현대작가의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조선청화백자의 다양한 면모, 화려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에 전시의 목적이 있었다면 어느정도는 성공한 전시라고 본다.

그러나 일면 이렇게 다 끌어모아야만 조선청화도 나름 화려하고 괜찮았구나 하고 느낀다는 사실이 씁쓸하기도 했다.

(중국와 일본 청화백자는 객관적으로 보았을때 그냥  화려하고 품질이 좋은 편이다)

여튼 도자사를 전공하는 사람들은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이번 전시는 조선청화의 새로운 면을 부각한 전시가 아닌가 싶다.

 

조선의 청화백자에서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특히 전시를 보면서 잘 모르지만 19세기 일본과의 영향관계, 나아가 유럽과의 영향관계 등을 고려한 연구가 많아져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18세기까지 전혀 등장하지 않았던 기종과 무늬가 급격하게 19세기에 등장하는 이유 등 풀어어할 숙제가 아직 많으니 연구가 좀 더 활발해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