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흔적

그동안 여러가지로 바쁘고 건강에도 문제가 생겨 서평이나 전시리뷰를 쓸 생각도 못하고 있었다.

그러는 와중 결국 티스토리 관리자로부터 휴면기간이 너무 길어서 계정을 없애고 블로그를 폐쇄한다는 경고문을 받아들고 그럴수는 없어서 다시 들어와 본다.

작년 하반기에 글을 올리고는 아직까지 그대로라니...

내가 생각해도 이건 너무했다 싶다.

내가 관리자라도 확(?) 없애고 싶을 것 같다.

글쓰는 공간을 없앨수는 없으니 다시 끈을 이어가보는 의미에서 최근에 본 전시리뷰를 올린다.

 

 

 

 

오늘로 아쉽게 전시가 막을 내렸지만 최근 전시 중 가장 화제가 되었던 국립중앙박물관의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을 보고 생각했던 것들을 소개한다.

신안선은 지금으로부터 40년전 전라남도 신안 앞바다에서 발견된 해저 침몰선으로, 중국 원나라시대인 14세기 전반에 중국 절강성 영파에서 일본 큐슈의 하카다항으로 가다가 좌초한 배다.

우연히 바다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의 그물에 중국 용천요산 청자 1점이 걸리면서 약 10년에 걸쳐 대대적인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배를 비롯하여 중국자기, 자단목, 동전 등등 3만점 가까운 유물을 인양했다.

비록 중국에서 고려로 오는 배는 아니었지만 14세기 전반 동아시아 도자기 교역의 양상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중요한 자료로 취급되어 왔다.

그동안의 전시에서는 일부 유물만 나와서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워서 아쉬운 점이 많았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작정하고 신안선에 실려 있었던 거의 대부분의 유물이 전시되어 흥미로웠다.

신안선에 실린 자기의 산지별 구성, 그릇 종류별 수량, 기타 품목의 구성과 수량 등을 파악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에 더 없이 좋은 전시였다.

개인적으로 나는 도자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도자기가 명품이냐를 보는 것보다 전체 구성과 비율, 그리고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것은 도자기가 생활용품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전시는 그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전시였다고 생각한다.

물론 14세기 전반 중국의 도자기를 수입해간 일본에서 어떻게 그것을 인식하고 사용했는지 그 의미에 대해서도 친절히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용도에 대해서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의 자기 뿐만 아니라 도기도 상당량이 일본으로 수출되었는데, 이것은 주로 일본에서 유행한 차문화로 인해 차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신안선에는 아주 질이 좋은 고급의 고려청자도 7점  실려 있는데, 이에 관한 해석은 다양하게 이야기되고 있다.

전시와 연계해서 열린 국제학술세미나에서 신안선의 고려청자가 중국에서 고미술품으로 유통되었던 것이 일본으로 수출된 것이라는 관점, 일본인들은 고려청자를 중국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라는 관점 등으로 나뉘어 토론이 있었다.

물량으로 보면 고려청자는 당시의 상황에서 교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동시대 중국과 일본에서 귀한 품목으로 자리한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이 문제는 좀 더 다각도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다.

 

신안선에 관한 이번 전시는 그동안 베일에 쌓여 있던 신안선의 전체 모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깊다.

물론 그것을 준비한 관계자들의 고생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정도였다.

그 수많은 유물을 수장고에서 꺼내어 정리하고 다시 전시장으로 옮긴 후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흘렸을 땀방울이 고스란히 전해져 왔다.

또 앞으로 전시가 끝나면 치뤄질 2차전의 두려움도 전시를 준비한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면서 느낄 수 있었다.

모름지기 좋은 전시는 치열한 연구의 결과이고 직접 발로 뛰면서 준비한 관계자들의 수고로움 덕분이다.

이렇게 좋은 전시가 너무 짧게 진행되어 아쉬움을 남기지만 앞으로 신안선에서 더 나아가 당시 동아시아의 문물의 교유와 그것이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