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흔적

 

사치란 사전에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주로 씀씀이나 꾸밈새, 행사의 치레 따위에서, 필요 이상의 돈이나 물건을 씀으로써 자신의 분수에 지나친 생활을 함"

위의 표현처럼 사치라고 하면 일단 부정적인 생각이 먼저 드는 것이 보통이다.

이를테면 절제, 검소, 절약의 반대말로 사치를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이책의 저자는 각 문명별로 사치가 그 문명을 어떻게 견인했는지 서술하면서 사치를 그저 부정적인 언어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문화적 동력이 된 사치'도 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인류의 각 문명은 끊임없이 사치스러움, 사치품을 갖고자 노력하였고 그것을 만들어내거나 얻어내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음을 말하고 있는데, 고대의 수메르부터 시작하여 현재의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를 들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중국의 도자기, 비단, 칠기, 옥이 중국인들에게 얼마나 많은 부와 발전을 가져다 주었는지, 또 중국의 이러한 물건이 비단길이나 해상무역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 나가면서 이것이 서방에 얼마나 많은 변화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사치를 크게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사치품으로 대표되는 물질적 사치와 철학, 문학, 종교 등에서 추구하는 비물질적 사치의 구분이 그것이다. 

때문에 내용이 어느부분에서는 많이 소략되어 있어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 곳도 있으며, 예로 든 사치품의 사진이 빠져서 정확하게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지 감이 안 오는 부분도 있다.

또 지나치게 비물질적 부분의 사치에 대해서-예를 들어 그리스의 철학- 설명하다 보니 이것이 정말 우리가 알고 있는 사치의 영역인가 하는 의문도 들었다.

차라리 비물질적 사치 부분은 빼고 물질적 사치부분에 집중하였다면 더 많은 것을 말할수 있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장점은 기존에 사치라는 단어가 가졌던 부정적 의미를 넘어 긍정적 의미까지도 짚어 보게 하였다.

저자의 말처럼 사치는 우리가 얼마나 풍요로워졌는가의 기준이 되어야 하며,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나치면 망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또한 치스럽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적정선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역사의 흐름을 보면서 고민해야 할 것이다.

지금 우리는 과연 문화적 동력이 되는 사치를 추구하는지 아니면 그저 망하는 지름길로 가는 사치를 하고 있는 것인지 묵직한 물음이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