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흔적

지난번 초등학생 역사와 친해지기(1)에 이은 두번째 편이다.

이번 이야기는 초등학생 뿐 아니라 청소년, 혹은 역사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에게도 도움이 될만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 그동안 경험한 것과 고민한 것을 조금 적어보도록 하겠다.

 

1. 한국사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상당히 간단하다.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통해 교훈을 얻어서 똑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좀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예전의 일을 반추하고자 하는 것이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이다.

지금 일어나는 모든 일은 과거로부터 나온 것이며 지금 잘못된 것을 찾으려면 그 원인을 파악하여 더 현명한 길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어리석어서 뻔히 역사에 어떻게 해야 되는지, 또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다 알려주고 있음에도 비슷한 잘못을 반복하긴 한다.

안타깝지만 어리석은 반복을 수없이 한 후에 나중에는 안하게 되지 않을까 희망을 품게 해주는 것도 역사의 존재이유일 것이다.

몇해전 고등학교에서 국사가 선택과목이 되고 대학에서 한국사가 교양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뀐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다시 필수과목이 되었지만 생각해보면 아찔하다.

자기 자신이 살고 있는 땅에서 일어났던 역사를 제대로 모른다면, 그리고 그것을 고민하지 않는다면, 또 거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역사에서 그동안 일어났던 것보다 더 끔찍한 일이 아무 거리낌없이 벌어질지도 모른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자기가 살고있는 나라의 역사정도는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들에게도 다른 건 몰라도 한국사의 중요 포인트나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 몇가지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2. 중국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한반도는 오래전부터 중국과 아주 가까운 관계에 있었다.

중국의 사상, 정치, 경제, 문화 등등 전방위에 걸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흔히 중국과 같은 우산속에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사를 제대로 알고 이해하고 싶다면 중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조금은 알고 있어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고려시대일때 중국에는 어떤 나라가 있었는지 알아야 훨씬 이해가 잘 된다.

고려초 거란족이 침공했는데 그들이 세운 나라가 요나라이다. 요나라는 중국의 북방지역에 있었고 같은 시기 남쪽에는 송나라가 있었다.

즉 고려시대에 일정기간동안 중국에는 요나라와 송나라가 있었던 것이다.

고려시대에 일어난 많은 사건들이 이들 나라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시대에 맞춰 중국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면 더 풍부한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3. 한국근현대사는 사실관계의 확인이 중요하다.

역사학의 시기구분법에 의해 현재 우리는 한국현대사라고 일컬어지는 시기에 살고 있다.

특히 20세기는 조선의 멸망, 일본의 침략, 한국전쟁, 남북분단, 군사독재, 민주화운동 등등 다른 나라에서는 몇백년에 걸쳐 일어났던 일들이 한꺼번에 일어났다.

학부때 한국현대사 수업을 들은 적이 있는데 한학기동안 1945년 8월 15일부터 1947년즈음까지밖에 배우지 못했다.

한학기동안 소화할 수 없는 수많은 일들이 그 짧은 시간에 벌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그 사건들이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들이었다.

이처럼 한국근현대사는 지금까지 혹은 앞으로도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기에 어떻게 평가하고 이야기할 것인가가 아직도 혼란스러운 것 같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옳고 그름의 판단보다는 실제 어떤 일들이 벌어졌었는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것들이 모여서 이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서 각자 관점이 생길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사실관계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나중에 이들이 컸을때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숨기고 싶다고 해서 숨겨지는 것이 아니다. 언젠가는 잘잘못이 가려지고 진실이 드러나게 되어 있다.

부끄럽고 아프고 서러운 역사라 할지라도 포장하지 말고 솔직하게 알고 배우고 가르치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