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흔적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시기> 시리즈는 오랜기간동안 스테티셀러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인문교양서이다.

나도 대학다닐때 읽었던 기억이 있다.

지금까지 국내를 중심으로 한 답사기만 나오다가 최근 다시 시리즈가 시작되면서 해외편이 나오고 있다.

해외편은 일본이 중심이 되는데 가장 먼저 나온 것이 규슈편이다.

규슈는 일본 중에서도 한반도와 가장 지근거리에 있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한반도와 밀접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한반도의 문화가 직접 전해진 곳이라는, 즉 한반도 문화가 일본보다는 우수하다는 내용을 강조할때 주로 예로 드는 곳이 규슈이다.

청동기문화에서부터 도자기에 이르기까지 규슈를 대표하는 것들이 거의 대부분 한반도의 영향권 아래에 있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까지도 불문율처럼 한국 역사학계와 일반대중들을 지배한 하나의 이념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자료의 발견과 연구를 통해 한반도로부터의 일방적인 문화 전파가 아니라 쌍방간의 교류라는 점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저자도 일방적인 시각이 아니라 쌍방적인 시각에서 규슈의 문화를 바라보고 있다.

대표적으로 임진왜란 이후 한반도의 도자기와 도공들이 규슈로 대거 이동하면서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도자기문화가 꽃피게되는데, 기존의 시각이라면  조선의 우수한 도자기문화를 일본에 빼앗겼다라는가 우리가 먼저이기 때문에 무조건 우수하다라는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물론 그런 면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저자는 조선도공을 우대한 일본의 정책을 통해 도공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우수한 품질의 도자기를 만들수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른바 장인을 우대하는 일본 특유의 문화의 기반위에서 비록 원천기술은 전래된 것이지만 하나의 문화로 승화시킨 것은 일본 자체의 노력이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자의 견해에 대해 나는 개인적으로 동의한다.

아무리 좋은 선진적인 문화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노력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그냥 스쳐지나가는 하나의 현상에 머물고 말 것이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다면 수용을 넘어서 또다른 새로운 문화로 발전시킬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전해주는 것과 그것을 꽃피우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가치있는 것인가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데, 나는 후자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일본은 많은 점에서 연구하고 곱씹어볼 필요가 있는것 같다.

도자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가 우리와 달리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끊임없이 일본화시키는 그들의 저력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비판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장점을 배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단순히 일본 규슈지역 중 한반도문화와 관련된 유적의 답사기가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일본문화를 바라보고 그 안에 자리한 한반도의 영향관계를 해석하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다.

  

 

 

우리시대의 대표적인 소설가 최인호작가가 세상을 뜨신지 벌써 일년이란다.

그분의 소설을 많이 읽어보진 못했지만 작고 소식을 들었을때 안타까웠다.

이번에 1주기를 기념하여 작가가 딸과 손녀에게 보낸 편지 형식의 에세이가 발간되었다는 소식에 냉큼 사게되었다.

작가의 글을 많이 접해보진 못했지만 그의 글에서 소년같은 감성이 마구 묻어나올것만 같았다.

다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처음 예상대로 딸과 딸이 낳은 손녀가 있는 할아버지이지만 마음만은 청춘이요 소년이었다.

하지만 딸과 손녀를 향한 사랑만큼은 그 어느에게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깊었다.

딸의 성장과정을 지켜보면서 느꼈던 수많은 감정들과 그 딸이 낳은 딸을 보면서 느낀 할아버지로서의 생소한 기분까지 가감없이 솔직했다.

나는 딸이 없지만 만약 딸이 있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을 정도로 딸에 대한 사랑이 절절했다.

이렇게 예쁜 딸과 너무나 사랑스러운 손녀를 두고 깊은 병에 걸렸던 작가는 얼마나 안타까웠을까?

더이상 눈앞에서 볼 수 없을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었을때 얼마나 슬펐을까?

그러나 작가는 생전에 마음껏 딸과 손녀를 사랑하였던 것 같다.

작가의 글에서 그 마음을 느낄수 있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두고 떠나야만 하는 이도, 사랑하는 사람을 보내야 하는 이도 그 순간이 되면 아쉬움 뿐일 것이다.

아직 아주 가까운 사람을 잃어본 적은 없지만 이제는 조금씩 준비해야 하기에 더 이 책이 다가왔던 것 같다.

 

(구순의 할머니께서 큰 수술을 앞두고 계신다. 잘 견뎌내실거라 굳게 믿으면서도 걱정되는 마음을 가눌 길이 없다. 제발 무사하시길 이렇게 글을 써서라도 빌어야겠다.) 

 

 

이 책은 일본의 헌책 수집가이자 서평가인 저자가 자신이 가진 책이 즐거움이 아니라 괴로움이 되는 순간을 맞이하여 일본의 대표적인 장서가들의 책수집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낸 것이다.

우리와 달리 일본은 목조주택이 많아서 엄청난 무게의 책 때문에 집이 무너질 위기에 처하거나 실제 무너진 사례들도 나오고 유명한 일본의 문학가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사랑하는 물건이었던 책이 어느 순간 처치해야할 괴물이 되는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시례로 들 장서가들이 어떤 연유로 책을 소장하게 되었는지 흥미진진하게 서술하고 있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물론 일본문학을 거의 알지 못하는지라 행간을 읽을수는 없었으나 일본의 헌책 수집의 풍경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어 흥미로웠다.

우리와 달리 일본은 대도시 곳곳에 헌책방이 자리하고 있고 고정고객이 있어 헌책의 유통이 많은 편이다.

나도 우리나라의 헌책방은 별로 안가봤어도 오사카의 우메다 헌책방거리, 도쿄의 진보쵸는 가본 적이 있을 정도이다.

이처럼 헌책의 유통이 활발하다보니 장서가들도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 많은 수의 책을 소장하고 있고 그에 파생된 여러가지 문제로 골치를 앓기도 하는 모양이다.

지진으로 인해 수십년간 모은 책을 한순간에 날리기도 하고 더이상 책을 앃아둘 수 없어 눈물을 머금고 처분하는 등 장서가들의 책에 얽힌 갖가지 사연이 재미있었다.

저자는 기존 장서가들이 책을 가짐으로써 겪은 어려움을 여러가지 예를 들어 소개하고는 결국 자신의 책을 처분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와 그 과정을 그려낸다.

서평가로서 다양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저자는 서재가 폭발 일보 직전이 되면서 제대로 글쓰기도 어려워질 정도가 되었다.

분명히 있는 책이지만 그 책을 찾을 수 없어 다시 사거나 도서관에서 빌리는 등 비효율의 정점을 찍으면서 1인 헌책방 도서판매전을 기획하게 된다.

다행히 성황리에 도서판매전이 개최되어 저자는 상당량의 책을 분양보내게 되는데 여전히 많은 책이 그의 서재에 한가득이다.

도서판매전을 기획하면서 헌책을 사랑하는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을 만나게 되고 그 안에서 에피소드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결국 책이 사람들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임을 말하고 있다.  

 

우리 집에도 다른 집에 비해 책이 많은 편이다.

안팎으로 공부하는 것을 직업으로 가진 탓도 있고 아이책도 필요하면 주저함 없이 사는 편인지라 이사때마다 책을 줄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다.

어느 시점까지는 책을 사고 모았지만 몇번의 이사를 거치면 상당량을 처분했다.

지인들을 주기도 하고 정말 과감하게 버리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책이 많은 편이다.

저자만큼은 아니지만 책꽂이에 꽂힌 책을 찾지 못해 시간을 허비하거나 찾아놓은 자료가 섞여서 다시 출력하는 등 비효율적인 일들도 있었다.

책은 여러 사람이 읽어야 효용이 있는 것이다. 책꽂이에 꽂여만 있다면 그것은 책의 생명을 다한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집에 있는 책들도 부지런히 순환시켜 꼭 필요한 사람 손에 들어가게 되었으면 좋겠다.